[기고] 문재인과 전두환의 5.18 역사전쟁 [33] – 『正史 5·18』의 허위기록

[LA=시니어타임즈US] 본지는 2019년 1월부터 518사건과 관련한 신간 <문재인과 전두환의 5.18 역사전쟁(The War of 5∙18 History between Moon Jae-in and Chun Doo Whan)>을 저자와의 합의 하에 연재를 시작한다.

<문재인과 전두환의 5.18 역사전쟁>은 5.18사태 전문가인 김대령 박사의 16년간의 연구 결산으로 지난해 11월 26일을 기해 출간됐으며, 인터넷 서점 아마존(www.amazon.com)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편집자주>

제5장 ∙ 문재인이 바로잡아야 할 5·18 기록

5. 『正史 5·18』의 허위기록

안영배 기자가 “계엄군 「시민사냥」 결정적 증거 찾았다”라는 제목의 특집기사를 1996년도 1월호 『신동아』에 기고하였을 때 그의 말뜻은 『正史 5·18』 341쪽에 실린 이광영의 말에서 결정적 증거를 찾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준태 등이 기록한 이광영의 증언 자체가 허위기록이었다.

기독병원이 박금희 양의 사망을 확인한 시간은 5월 21일 오후 2시였다. 그 날 오전부터 오후 2시까지 이광영이 한 활동은 양동 복개상가 다리를 통과하는 무장공비 차량에 플래카드를 달아주거나 직접 페인트로 써주는 것이었으며, 그 이후에는 공비 차를 타고 광주교도소 인근까지 갔었음을 이광영은 1988년에 이렇게 증언하였다:

그리고 복개상가 다리를 통과하는 모든 차량에게 미처 플래카드를 달아주지 못하자 차에다 직접 페인트로 써주기도 했는데 대기해 있는 차량이 1백여 대나 줄서 있는 것을 볼 때 우리의 사업은 성공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뿌듯했다.

그때 적었던 구호는 ‘계엄을 철폐하라’, ‘김대중을 석방하라’, ‘언론자유 보장하라’, ‘최후의 일각까지’, ‘오호 통재라’, ‘오후 3시까지 도청으로 집결’ 등이었다.

거의 모든 차량에 직접 다 쓰고 나니까 오후 2시 정도 되었다. 도청 쪽에서는 총격전이 한창이었다. 남아 있는 대원정리를 해보니 모두 10명, 우리들은 늦은 점심을 먹으면서 이제부터는 무슨 일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얘기했다. 그러다가 우리는 일단 차를 타고 돌며 찾아보기로 하고 차에 탔다. 우리는 광주교도소 있는데까지 갔다가 한전 있는 쪽으로 왔는데 시내의 총격전으로 인해 곳곳에 차량들이 밀려 길이 막혀 있었다 (이광영 1988a).

박금희 양이 5월 21일 오후 한 시 반경 양림동에서 사망한 시간에 이광영은 남구 양림동이 아닌 서구 양동에서 프래카드 작업을 하고 있었으며, 그 후에 늦은 점심식사를 하였고, 그 후에 광주교도소까지 갔다가 한전 쪽으로 왔었을 때 붐비는 무장난동자 차량들로 인해 길이 막혀 있었다.

이렇듯 이광영은 박금희를 만난 적이 없음에도 1995년에 김준태와 이재의 등이 집필한 『正史5·18』 341쪽에는 이렇게 엉터리로 기록되어 있다:

부상자 구호 활동을 위해 시내 전역을 돌던 이씨는 이날 오후 6시께 양림동에서 헌혈을 하고 싶다는 여학생을 만나 기독병원으로 안내한다.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헌혈을 하겠다고 졸라 기독병원으로 데려다 준 뒤 또다시 부상자 수송작업에 나섰다. 잠시후 다시 기독병원에 와보니 많은 사람들이 웅성이며 울부짖고 있었다. 어느 여학생이 머리에 정통으로 총탄을 맞아 즉사했다는 것이다” (광주매일 『正史5·18』 특별취재반 1995, 341).

광주매일정사518특별취재반이 역은 <정사 5.18> 1995년 11월 사회평론에서 출판했다.

『正史5·18』은 출처를 밝히지 않고 월간경향 1988년 3월호 139쪽을 짧게 줄여 인용하였던 바, 그 원문은 이러하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잊을 수 없는, 지금도 내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는 하나의 사건이 있다. 오후 6시쯤일까. 헌혈된 피를 광주공원에서 수거하여 기독병원에 갖다주기 위해(당시 헌혈은 시내 각처에서 시민 자발적으로 행해졌는데 얼마나 그 호응이 좋았는지 병원마다 피는 부족하지 않았다) 양림동을 지나가는데 어느 중학생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우리 차를 잡으며 “나도 헌혈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하고 묻기에 어른들이 많이 한다며 매달리기에 어쩔 수없이 차에 태워서 기독병원에 데려다 주며 헌혈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어 우리들은 全大병원에서 병실이 부족한 관계로 미처 다 수용치 못한 응급환자들은 기독병원 등으로 분산 치료케 해 주는 일을 도왔다. 부상자를 싣고 기독병원에 도착하니 많은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울부짖는 소리가 들리쟎은가. 웬일인가 싶어 가보니 어느 여학생이 머리에 정통으로 총을 맞아 즉사한 것이다. ‘아니!’ 나는 깜짝놀라 다리를 휘청거렸다. 그 여학생은 조금전 내가 실어다 준 헌혈하겠다던 그 여학생이 아닌가. 그 학생은 헌혈을 마치고 걸어서 집으로 가다가 공수부대의 총탄에 쓰러졌던 것이다 (이광영 1988b, 139).

입에서 거짓말을 거침없이 쏟아내던 이광영은 박금희 양을 오후 6시 이후에 자신이 기독병원으로 데려다 주었다고 하였으나 그런 주장은 그녀는 오후 2시에 사망하였다는 기독병원 사망진단서 팩트 앞에서 여지없이 무너진다.

사실 이광영 본인이 시민군 총에 맞아 5·18 국가유공자가 되었다. 이광영의 증언에서 그가 시청 4거리에서 무장괴한의 총에 허리를 맞고 영영 다시는 걸을 수 없게 된 시각이 오후 7시였다. 그 여학생이 죽은 것을 보고 “깜짝 놀라 다리를 휘청거렸다”는 시간은 이광영 자신이 무장괴한 총에 맞아 이미 하체 불구자가 되어 있던 때였다. 이광영의 허위 증언이 월간경향 3월호에 실린지 1년도 채 안되는 1989년 2월 23일의 광주청문회에서 그는5월 21일 6시 이후 어둑어둑할 때에 자신은 광주 양림동이 아니라 저 멀리 담양 쪽 교도소 앞 톨게이트 부근에 있었다고 실토하였다 (제145회 국회 청문회 1989, 29:18).

이광영은 그 날의 광주청문회에서 오후 7시 이후에는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았다고 증언하였다 (제145회 국회 청문회 1989, 29:17). 바로 그 해의 5·18 증언록에서 그는 “광주교도소 있는 데까지 갔다가 한전 있는 쪽으로 왔는데” 시민군 차들이 너무 많아 길이 막혀 7시가 지나서야 광주로 돌아올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광영이 청문회에서 말하였듯이 “그때 그 시간은 [오후 7시는] 이미 공수부대가 광주에서 철수한 지 한참 지난 시간이었다.” 더구나 이광영 본인의 국회청문회 증언에서 그는 그 즈음에 시청사거리에서 무장괴한이 [시민군이] 쏜 총에 척추 중추신경을 맞은 환자로서 기독병원에 도착하였다 (제145회 국회 청문회 1989, 29:18-19).

그럼에도 광주매일 『正史5·18』 특별취재반은 광주청문회 속기록과 비교도 해보지 않은 채 월간경향 1988년 3월호 139쪽을 그대로 표절하여 『正史5·18』341쪽에 수록하였다. 『신동아』 안영배 기자가 찾았다는 계엄군 시민사냥의 결정적 증거가 바로 『正史5·18』 341쪽에 수록된 이광영의 말이다.

당시 『신동아』는 5·18측 주장에 유리한 기록을 만들기 위해 황적준 박사에게 사체검안서 및 사체 사진 감정을 의뢰하였지만 박금희 양이 입은 총상은 하복부 총상이었으며, 황적준 박사가 아무리 최대로 총상 부위를 올려도 가슴 위로 올릴 수는 없었다. 두부 총상은커녕 머리에 아무런 상처도 없었다.

『正史5·18』 341쪽은 마치 헬기가 기독병원 상공에서 병원 및 병원 인근을 향하여 사격하였으며, 헌혈을 방금 마친 여고생을 조준 사격하였던 것으로 사실 왜곡을 한다. 『신동아』 1996년 1월호 142쪽은 출처를 밝히지 않고 『正史5·18』 314쪽을 그대로 베끼면서 다만 “머리에 정통으로”이란 문구만 슬쩍 빼버린다:

어떤 여학생이 헌혈을 하겠다고 졸라 기독병원으로 데려다 준 뒤 또다시 부상자 수송작업에 나섰다. 잠시 뒤 기독병원에 와 보니 많은 사람들이 웅성대며 울부짖고 있었다. 어느 여학생이 총탄을 맞아 즉사했다는 것이다 (안영배 1996, 142).

5월 21일에 박양은 헌혈한 적이 없으며, 오후 2시 이전에 사망한 사람이 사망한 지 네 시간도 더 지나 헌혈하는 것은 불가능함에도 『신동아』 1996년 1월호는 “계엄군 시민사냥 결정적 증거 찾았다” 제하의 기사에서 이광영의 거짓말을 사실처럼 인용하였다.

 

The following two tabs change content below.

편집국

시니어 타임즈 US는 미주 한인 최초 온라인 시니어 전문 매거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