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환자수가 적었던 남성 환자의 증가폭이 여성 대비 2배 가까이 높았다.
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우울증’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12년 58만8000명에서 2017년 68만1000명으로 15.8% 증가하였다.
남성은 2012년 18만2000명에서 2017년 22만6000명으로 24.0% 증가했고, 여성은 2012년 40만6000명에서 2017년 45만5000명으로 12.1% 증가했다. 다만 2012~2017년 매해 진료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2.1배 가량 많았다.
2017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여성이 4303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여성(3035명), 50대 여성(1955명) 등이 뒤를 이었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환자수는, 70대 이상(16만6000명, 24.4%)이 가장 많았고, 60대(12만2000명, 17.9%), 50대(11만8000명, 17.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5만명, 22.0%)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7000명, 16.2%), 50대(3만6000명, 16.1%)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1만6000명, 25.5%)이 가장 많았고, 60대(8만5000명, 18.7%), 50대(8만1000명, 17.8%)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재섭 교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이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 호르몬의 영향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여성은 월경, 출산, 폐경 등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극심한 경우 감정의 흔들림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중년기 여성들이 폐경 전후에 겪게 되는 호르몬 변화는 생물학 적인 차이 이외에도 사회적 환경 및 기대되는 역할의 차이도 여성 우울증에 영향을 미친다.
그는 “육아 및 가사와 직장생활의 병행, 시부모님과의 갈등, 남성중심 사회에서의 생활 등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나 또는 가정적인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며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들의 경우 우울 증상의 표현을 꺼리거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 사용이 우울증상을 가리기 때문일 수 있다”고 짐작했다.
박재섭 교수는 노인층에서 우울증 증가가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내외과적 질환, 사별과 같은 생활사건 등을 노인 우울증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가족 제도 변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와 가족 내 갈등 증가,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늘어나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프리덤뉴스 제휴
세션 내 연관 기사 보기
편집국
Latest posts by 편집국 (see all)
- [나은혜 칼럼] 핑크빛 KWMI 한국대면말씀기도회 - 09/06/2024
- [나은혜 칼럼] 한여름의 의자나눔 프로젝트 - 08/21/2024
- [김현태 칼럼] 그가 걸음을 멈춘 까닭은? - 08/21/2024